새해가 되면 하는 일중 하나가 그 해의 달력을 새롭게 준비하는 것입니다. 요즘 젋은 분들은 잘 챙기지 않으시겠지만 과거에는 띠달력을 많이들 사용하면서 집안에 행사가 있을때마다 날짜별로 해당하는 12간지를 챙겨보며 행사날짜를 정하곤 했는데요.

 

 

여전히 띠달력을 찾으시는 분들이 있으셔서 띠달력 보는 방법과 바로 찾아갈 수 있는 링크를 알려드릴까 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띠달력은 다음포털에서 달력이라는 단어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시는 경우 음력달력까지는 이용하실 수 있지만 띠달력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띠달력을 이용하실 분들은 다음에서 검색해 달력을 이용하셔야 하니 참고 바랍니다. 

 

 

다음포털에서 달력을 검색해 보시면 위와 같은 달력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음력과 간지가 표시 되지 않는데요. 

 

 

달력 상단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을 체크하시면 음력과 간지가 표시되어 날짜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실 저도 간지는 정확히 몰라서 따로 검색을 해 보았는데요.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간지

 

10간과 12지를 조합한 말로 과거 집안의 대소사나 농사짓는 시기까지 간지에 의존할 정도로 이것에 대한 믿음이 강했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민간신앙으로 자리를 잡았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젊은층에서 흥미로 사주나 궁합을 볼때 이용하기도 하는데요.

 

1. 10간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2. 12지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

 

 

위와 같이 10간과 12지가 앞뒤로 한글자씩 조합이 되어 사용되어 집니다. 젊은분들일수록 잘 모르는 부분이 많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참고로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 2019년 띠달력[바로가기]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면 다음 달력으로 바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위의 달력 사진에서 설명 드린 것과 같이 달력 우측 상단에 있는 간지에 체크를 하시면 띠달력 이용이 가능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셔서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Posted by %%%~%%%%_!!